• #No #Number #Numero #No뜻 
No.1
이걸 보고 [넘버원]이라고 읽곤 합니다.
그런데 영어 단어 Number에는 'o'가 없는데
어떻게 넘버라고 읽을 수 있게 된 걸까요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No #Number #Numero #No뜻 No.1 이걸 보고 [넘버원]이라고 읽곤 합니다. 그런데 영어 단어 Number에는 'o'가 없는데 어떻게 넘버라고 읽을 수 있게 된 걸까요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메이데이 #Mayday #판판 #Panpan

재난 구조 요청 신호 중 하나인 Mayday
May + day라서 5월과 관련되어 있어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메이데이 #Mayday #판판 #Panpan 재난 구조 요청 신호 중 하나인 Mayday May + day라서 5월과 관련되어 있어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SOS #S_O_S

조난 신호로 알려진 SOS
어느 단어의 약자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이 단어에는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모스 부호를 단어화 한 것 뿐입니다.
영화 엑시트의 명대사 '따따따 따-따-따 따따따'
이게 바로 SOS를 의미합니다
기호화 해보면 [...---...]
... = 따따따
--- = 따-따-따

이 기호를 다르게 끊는다면
SOS 말고 다른 단어 조합이 될 수도 있지만
SOS가 가장 쉬워서 이렇게 굳어진 것 같네요.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SOS #S_O_S 조난 신호로 알려진 SOS 어느 단어의 약자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이 단어에는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모스 부호를 단어화 한 것 뿐입니다. 영화 엑시트의 명대사 '따따따 따-따-따 따따따' 이게 바로 SOS를 의미합니다 기호화 해보면 [...---...] ... = 따따따 --- = 따-따-따 이 기호를 다르게 끊는다면 SOS 말고 다른 단어 조합이 될 수도 있지만 SOS가 가장 쉬워서 이렇게 굳어진 것 같네요.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코로나 #코로나19 #COVID #COVID19 #우한폐렴

내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는 우한 폐렴
전 세계에서 부르고 있는 이름은 '코로나'죠.
WHO에서 공식 발표한 명칭은 'COVID-19'입니다.

일단 COVID-19의 이름을 살펴보면
CO - Corona
VI - Virus
D - Disease
19 - 2019

이 단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그리고 'Corona, 코로나'라는 단어 자체는 라틴어에서 가져온 단어인데요.

라틴어로 코로나 뜻은 '왕관, 화환'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왕관과 화환의 공통점은
동그란 원 주위에 또 동그란 비슷한 것들이 달려있는데요.

코로나바이러스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그 모습이 동그란 것 주위에 동그란 것들이 있어서
이름을 이렇게 짓게 됐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굳이 라틴어에서 그 단어를 가져오게 된 걸까요?
사실 의학 쪽에서는 대부분 용어가 다 라틴어에서 가져온 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경우도 자연스럽게 라틴어에서 가져오게 된 거죠.

그런데 지금의 이 우한 폐렴, 코로나가 첫 코로나 바이러스일까요?

사실 코로나바이러스라는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도 겪었었던 #사스, #메르스도 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그래서 이 질병들의 이름을 보면 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들어가있습니다.
'CoV=CoronaVirus'

COVID-19 = 'SARS-CoV-2'
사스 = 'SARS-CoV-1'
메르스 = 'MERS-CoV'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질병은 1930년대 처음 발견됐습니다.
닭에서 가장 먼저 발견이 된 후에 개, 돼지 등에도 전파가 됐고
1960년대에는 사람에게까지 전파되기 시작했죠.

그리고 사스, 메르스를 거쳐 지금의 COVID-19까지
이렇게 변형된 코로나바이러스가 나오게 된 겁니다.

그리고 우한 폐렴인 COVID-19은 처음에는 다른 이름이 될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동 호흡기 증후군)
중동이라는 이름이 질병 이름에 들어간 것처럼

세계 전문가들은 우한 호흡기 증후군이라고 이름지어질 거라고 예상을 한 거죠.
[Wuhan Respiratory Syndrome]
WRS-CoV가 될 거로 말이죠.

하지만 WHO에서는 COVID-19으로 확정지었습니다.
그리고 WHO에서도 이렇게 이름을 확정 짓기 전에는
'2019-nCoV'라는 이름을 임시로 썼다고 합니다.
(2019 Novel Coronavirus)

메르스는 중동 이름이 들어가면서 COVID-19은 중국이름이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메르스가 이름이 확정됐을 때 많은 중동의 아랍 국가들이 WHO에 강력한 항의를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2015년에 WHO는 새로 발명되는 병명을 지을 때 그 이름 규정을 만들게 됐는데요.
지역, 사람 이름, 동물, 음식, 문화, 인구, 산업, 직업 등 공포를 유도하는 단어를 배제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COVID-19 의 이름에는 '중국, 우한' 이 들어가지 않게 된 거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코로나 #코로나19 #COVID #COVID19 #우한폐렴 내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는 우한 폐렴 전 세계에서 부르고 있는 이름은 '코로나'죠. WHO에서 공식 발표한 명칭은 'COVID-19'입니다. 일단 COVID-19의 이름을 살펴보면 CO - Corona VI - Virus D - Disease 19 - 2019 이 단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그리고 'Corona, 코로나'라는 단어 자체는 라틴어에서 가져온 단어인데요. 라틴어로 코로나 뜻은 '왕관, 화환'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왕관과 화환의 공통점은 동그란 원 주위에 또 동그란 비슷한 것들이 달려있는데요. 코로나바이러스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그 모습이 동그란 것 주위에 동그란 것들이 있어서 이름을 이렇게 짓게 됐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굳이 라틴어에서 그 단어를 가져오게 된 걸까요? 사실 의학 쪽에서는 대부분 용어가 다 라틴어에서 가져온 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경우도 자연스럽게 라틴어에서 가져오게 된 거죠. 그런데 지금의 이 우한 폐렴, 코로나가 첫 코로나 바이러스일까요? 사실 코로나바이러스라는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도 겪었었던 #사스, #메르스도 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그래서 이 질병들의 이름을 보면 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들어가있습니다. 'CoV=CoronaVirus' COVID-19 = 'SARS-CoV-2' 사스 = 'SARS-CoV-1' 메르스 = 'MERS-CoV'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질병은 1930년대 처음 발견됐습니다. 닭에서 가장 먼저 발견이 된 후에 개, 돼지 등에도 전파가 됐고 1960년대에는 사람에게까지 전파되기 시작했죠. 그리고 사스, 메르스를 거쳐 지금의 COVID-19까지 이렇게 변형된 코로나바이러스가 나오게 된 겁니다. 그리고 우한 폐렴인 COVID-19은 처음에는 다른 이름이 될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동 호흡기 증후군) 중동이라는 이름이 질병 이름에 들어간 것처럼 세계 전문가들은 우한 호흡기 증후군이라고 이름지어질 거라고 예상을 한 거죠. [Wuhan Respiratory Syndrome] WRS-CoV가 될 거로 말이죠. 하지만 WHO에서는 COVID-19으로 확정지었습니다. 그리고 WHO에서도 이렇게 이름을 확정 짓기 전에는 '2019-nCoV'라는 이름을 임시로 썼다고 합니다. (2019 Novel Coronavirus) 메르스는 중동 이름이 들어가면서 COVID-19은 중국이름이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메르스가 이름이 확정됐을 때 많은 중동의 아랍 국가들이 WHO에 강력한 항의를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2015년에 WHO는 새로 발명되는 병명을 지을 때 그 이름 규정을 만들게 됐는데요. 지역, 사람 이름, 동물, 음식, 문화, 인구, 산업, 직업 등 공포를 유도하는 단어를 배제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COVID-19 의 이름에는 '중국, 우한' 이 들어가지 않게 된 거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aka #에이케이에이 #쇼미더머니 #래퍼 #가명 #닉네임 #alsoknownas 
주로 래퍼들이 소개를 할 때
a.k.a ___ 라고 하곤 합니다.

이런 걸 보고 들으면서
아~ 가명인 건가, 닉네임인 건가
하면서 느낌으로 알고 있었을 겁니다.

일단 a.k.a 발음
'아카'라고 읽지 않고
'에이 케이 에이'로 발음 합니다.

a.k.a
also known as
~로도 알려진

이런 의미입니다.

그래서 나는 A 인데
B로도 알려진 사람입니다.

라는 뜻인 거죠.

대중들에게 인식이 되어야 하니
본명보다 가명을 쓰면서
a.k.a B 라고 소개를 하곤 하게 된 것 같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aka #에이케이에이 #쇼미더머니 #래퍼 #가명 #닉네임 #alsoknownas 주로 래퍼들이 소개를 할 때 a.k.a ___ 라고 하곤 합니다. 이런 걸 보고 들으면서 아~ 가명인 건가, 닉네임인 건가 하면서 느낌으로 알고 있었을 겁니다. 일단 a.k.a 발음 '아카'라고 읽지 않고 '에이 케이 에이'로 발음 합니다. a.k.a also known as ~로도 알려진 이런 의미입니다. 그래서 나는 A 인데 B로도 알려진 사람입니다. 라는 뜻인 거죠. 대중들에게 인식이 되어야 하니 본명보다 가명을 쓰면서 a.k.a B 라고 소개를 하곤 하게 된 것 같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
#인스타그램 #팔로우 #인스타 #팔로잉 #팔로워 #유튜브 #구독

인스타나 페이스북 팔로워
또는 유튜브 구독자 옆에 쓰여있는 숫자와 K/M

무슨 뜻일까요?

일단 우리는 K는 숫자 천을 의미하고
M은 백만을 의미한다는 걸 짐작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영어 시간에 배운 숫자 '천'은 Thousand죠.

K는 어디서 왔을까요?

K는 원래 그리스어 단어 Chilioi='1,000' 에서 왔습니다.
프랑스어에서 이 단어를 Kilo로 축약해서 가져왔고
우리가 보는 K가 바로 이겁니다.

그리고 K 외에 단어는 더 있습니다.
M은 Million 백만
B는 Billion 십억
T는 Trillion 일조

이런 뜻인데요.

100K 이런 식으로 표현은 하지만
1000K 이렇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1000K 대신에 1M으로 표기를 하죠.
숫자 4개를 쓰지 않고 3개까지만 쓰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1000M이 되면 1B가 되고
1000B는 1T로 표현이 됩니다.

우리나라와 영어의 숫자 묶음 단위는 조금 다릅니다.

숫자 천까지는 각각 이름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만부터 숫자 0을 4개씩 묶고
영어는 천부터 숫자 0을 3개씩 묶습니다.

그래서 0이 12개 배수가 될 때마다
국어와 영어의 숫자 묶음이 공통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조 - Trillion
서 - Septillion
간 - Undecillion
극 - Quindecillion
나유타 - Novemdeci

등이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보게 될 가능성이 높은 단어는
B와 T까지가 될 것 같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스타 팔로워를 보유한 '호XX'
2억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하며 203M으로 표현이 되고 있구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퓨디파이'
1억이 넘는 구독자 수를 보유하며 103M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만약 10억이 넘어가는 숫자가 된다면
1B로 바뀌는 걸 볼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T는 전 세계 인구가 77억여 명이라서 보긴 힘들 것 같지만

게시글의 조회수 등은 중복으로도 계산이 돼서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T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 #인스타그램 #팔로우 #인스타 #팔로잉 #팔로워 #유튜브 #구독 인스타나 페이스북 팔로워 또는 유튜브 구독자 옆에 쓰여있는 숫자와 K/M 무슨 뜻일까요? 일단 우리는 K는 숫자 천을 의미하고 M은 백만을 의미한다는 걸 짐작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영어 시간에 배운 숫자 '천'은 Thousand죠. K는 어디서 왔을까요? K는 원래 그리스어 단어 Chilioi='1,000' 에서 왔습니다. 프랑스어에서 이 단어를 Kilo로 축약해서 가져왔고 우리가 보는 K가 바로 이겁니다. 그리고 K 외에 단어는 더 있습니다. M은 Million 백만 B는 Billion 십억 T는 Trillion 일조 이런 뜻인데요. 100K 이런 식으로 표현은 하지만 1000K 이렇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1000K 대신에 1M으로 표기를 하죠. 숫자 4개를 쓰지 않고 3개까지만 쓰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1000M이 되면 1B가 되고 1000B는 1T로 표현이 됩니다. 우리나라와 영어의 숫자 묶음 단위는 조금 다릅니다. 숫자 천까지는 각각 이름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만부터 숫자 0을 4개씩 묶고 영어는 천부터 숫자 0을 3개씩 묶습니다. 그래서 0이 12개 배수가 될 때마다 국어와 영어의 숫자 묶음이 공통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조 - Trillion 서 - Septillion 간 - Undecillion 극 - Quindecillion 나유타 - Novemdeci 등이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보게 될 가능성이 높은 단어는 B와 T까지가 될 것 같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스타 팔로워를 보유한 '호XX' 2억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하며 203M으로 표현이 되고 있구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퓨디파이' 1억이 넘는 구독자 수를 보유하며 103M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만약 10억이 넘어가는 숫자가 된다면 1B로 바뀌는 걸 볼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T는 전 세계 인구가 77억여 명이라서 보긴 힘들 것 같지만 게시글의 조회수 등은 중복으로도 계산이 돼서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T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이브 #Christmas #Christmaseve
.
크리스마스는 겨울이지만 따뜻한 느낌이 나죠.
여기 저기 이쁘게 꾸며놓고 캐럴도 끊임없이 흘러나옵니다.

이 날에 우리는 파티를 하거나
선물을 주고받거나 하는 등 즐기곤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러지 못한 사람들도 있죠.
생사 문제도 있고, 가정사 문제도 있고..
그래서 선물을 주고 싶어도, 받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기도 합니다.

왜 선물을 바라는 날이 됐을까요?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인데 말이죠... 크리스마스는 성탄절/성탄제/성탄일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날엔 사람들을 만나서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인사하기도 하는데요
'해피 홀리데이라'라고 인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공휴일이니까요.

크리스마스는 미국에서 1870년에 법정 공휴일로 지정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미국 군사 체제일 때
공휴일이 시작됐습니다.
법정 공휴일로는 추후에 지정됐죠.

그렇다고 모든 나라가 공휴일은 아닙니다.
일본과 중국은 평일입니다.

과거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는 국가가 주로 공휴일로 지정했죠.
ex)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홍콩, 마카오 등

그리고 크리스마스를 X-Mas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X가 단순히 영어 알파벳이 아니라 그리스 단어에서 가져온 건데요
Χριστός(그리스도=Christ) 뜻입니다.

그래서 여기서 X만 따게 됐고 엑스 마스가 된 겁니다.
하지만 말로 표현할 때 '엑스 마스!'라고 거의 하진 않습니다.

또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하기도 하죠.
Merry=Happy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추석에도 '해피 추석!' 이렇게 인사를 하기도 하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이브 #Christmas #Christmaseve . 크리스마스는 겨울이지만 따뜻한 느낌이 나죠. 여기 저기 이쁘게 꾸며놓고 캐럴도 끊임없이 흘러나옵니다. 이 날에 우리는 파티를 하거나 선물을 주고받거나 하는 등 즐기곤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러지 못한 사람들도 있죠. 생사 문제도 있고, 가정사 문제도 있고.. 그래서 선물을 주고 싶어도, 받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기도 합니다. 왜 선물을 바라는 날이 됐을까요?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인데 말이죠... 크리스마스는 성탄절/성탄제/성탄일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날엔 사람들을 만나서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인사하기도 하는데요 '해피 홀리데이라'라고 인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공휴일이니까요. 크리스마스는 미국에서 1870년에 법정 공휴일로 지정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미국 군사 체제일 때 공휴일이 시작됐습니다. 법정 공휴일로는 추후에 지정됐죠. 그렇다고 모든 나라가 공휴일은 아닙니다. 일본과 중국은 평일입니다. 과거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는 국가가 주로 공휴일로 지정했죠. ex)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홍콩, 마카오 등 그리고 크리스마스를 X-Mas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X가 단순히 영어 알파벳이 아니라 그리스 단어에서 가져온 건데요 Χριστός(그리스도=Christ) 뜻입니다. 그래서 여기서 X만 따게 됐고 엑스 마스가 된 겁니다. 하지만 말로 표현할 때 '엑스 마스!'라고 거의 하진 않습니다. 또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하기도 하죠. Merry=Happy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추석에도 '해피 추석!' 이렇게 인사를 하기도 하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 #라디오 #FM #AM #FM1 #FM2
.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라디오, 그 감성이 있죠.

라디오를 들을 때, 요즘 어플로도 많이 이용하지만
기계를 통해서 들을 때 AM/FM을 맞추고 주파수를 맞춥니다.

AM과 FM이 뭔지 간단하게 보자면
AM과 FM은 신호의 종류입니다.

라디오가 소리로 나온다고
멀리서 내보내는 소리를 끌어와서 들려주는 게 아니라
사방에 존재하는 신호를 잡아서 소리로 변환해주는 거죠.

AM은 Amplitude Modulation Broadcasting
진폭 변조 방송이라 부르고
(1870년대 시작)

FM은 Frequency Modulation Broadcasting
주파수 변조 방송이라고 부릅니다
(1930년대 시작)

AM과 FM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AM은 아주 멀리서도 신호를 잡아서 방송을 할 수 있지만
신호 간섭이 심해서 음질이 다소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엔 AM이 없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FM은 비교적 음질이 좋아서 모든 방송국에서 이용하는 신호죠.
FM 방송은 다 하지만, AM 방송은 하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단점은 장벽이 있으면 신호가 잘 안 잡힙니다.
그래서 차를 타고 터미널을 가거나, 건물 안에 있으면 지지직거리기도 합니다.
(요즘엔 터미널을 보완해서 라디오가 끊기지 않게 하기도 하죠)

라디오 주파수를 보면 AM의 숫자가 FM보다 더 높습니다.
하지만 단위가 다른데요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거지만 AM의 단위는 킬로헤르츠(KHz)
FM의 단위는 메가헤르츠(MHz)라서
실제로는 FM 주파수 숫자가 더 큽니다.

Hz(헤르츠)는 1초에 1번 순환한다는 뜻으로
많이 순환할수록 안정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자동차 등에서 FM1 / FM2를 종종 보실 수도 있는데요.
이건 FM이 또 나뉘는 게 아니고 단축키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FM1에 6개의 단축키를 다 저장했으면 FM2에 추가로 더 저장하게 되는 거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일상 #소통 #데일리 #선팔 #맞팔 #좋아요반사 #팔로우 #좋아요 #토익 #토스 #텝스 #오픽
    00
    #라디오 #FM #AM #FM1 #FM2 .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라디오, 그 감성이 있죠. 라디오를 들을 때, 요즘 어플로도 많이 이용하지만 기계를 통해서 들을 때 AM/FM을 맞추고 주파수를 맞춥니다. AM과 FM이 뭔지 간단하게 보자면 AM과 FM은 신호의 종류입니다. 라디오가 소리로 나온다고 멀리서 내보내는 소리를 끌어와서 들려주는 게 아니라 사방에 존재하는 신호를 잡아서 소리로 변환해주는 거죠. AM은 Amplitude Modulation Broadcasting 진폭 변조 방송이라 부르고 (1870년대 시작) FM은 Frequency Modulation Broadcasting 주파수 변조 방송이라고 부릅니다 (1930년대 시작) AM과 FM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AM은 아주 멀리서도 신호를 잡아서 방송을 할 수 있지만 신호 간섭이 심해서 음질이 다소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엔 AM이 없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FM은 비교적 음질이 좋아서 모든 방송국에서 이용하는 신호죠. FM 방송은 다 하지만, AM 방송은 하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단점은 장벽이 있으면 신호가 잘 안 잡힙니다. 그래서 차를 타고 터미널을 가거나, 건물 안에 있으면 지지직거리기도 합니다. (요즘엔 터미널을 보완해서 라디오가 끊기지 않게 하기도 하죠) 라디오 주파수를 보면 AM의 숫자가 FM보다 더 높습니다. 하지만 단위가 다른데요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거지만 AM의 단위는 킬로헤르츠(KHz) FM의 단위는 메가헤르츠(MHz)라서 실제로는 FM 주파수 숫자가 더 큽니다. Hz(헤르츠)는 1초에 1번 순환한다는 뜻으로 많이 순환할수록 안정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자동차 등에서 FM1 / FM2를 종종 보실 수도 있는데요. 이건 FM이 또 나뉘는 게 아니고 단축키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FM1에 6개의 단축키를 다 저장했으면 FM2에 추가로 더 저장하게 되는 거죠.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일상 #소통 #데일리 #선팔 #맞팔 #좋아요반사 #팔로우 #좋아요 #토익 #토스 #텝스 #오픽
  • #아울렛 #아웃렛 #outlet #쇼핑 #shopping
.
아울렛으로 쇼핑을 가곤 하죠.

그런데 아울렛이 아니라 아웃렛이 정확한 표현이라고 합니다.
(국립 국어원 기준)

아웃렛은 좀 더 저렴한 이미지로 알려져 있는데요.
(항상 그렇지만은 않지만요)

왜 아웃렛이 이런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는지 볼게요.

먼저 아웃렛의 뜻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배출/배출구
2. 감정 표출
3. 회사
4. 전기 코드를 꽂을 콘센트
5. 직영점, 할인점, 복합상가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out, 밖으로
이런 뜻이 있습니다.
그리고 let은 사역 동사로 많이 알려져 있죠.
~ 하게 하다. 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Outlet, 밖으로 나가게 하다'
이런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5가지 의미가 모두 밖으로 나가게 하는 의미가 들어있죠.

아웃렛 공장은 193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공장 옆에 지어놓고, 유통 과정을 없애면서 저렴하게 팔고
고객에게 공장 체험도 시켜주는 등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20세기 후반 아웃렛을 모아놓은 쇼핑몰이 미국에서 급격하게 성장했고
지금의 아웃렛이 된 겁니다.

그래서 아웃렛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Outlets, 복수 명사로 써야 하는데
발음 편의상 아웃렛이라고만 하죠.

그런데 아웃렛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시면 인터넷 주소(URL)에
outlets 라고 s가 붙어 있는 걸 확인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
    00
    #아울렛 #아웃렛 #outlet #쇼핑 #shopping . 아울렛으로 쇼핑을 가곤 하죠. 그런데 아울렛이 아니라 아웃렛이 정확한 표현이라고 합니다. (국립 국어원 기준) 아웃렛은 좀 더 저렴한 이미지로 알려져 있는데요. (항상 그렇지만은 않지만요) 왜 아웃렛이 이런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는지 볼게요. 먼저 아웃렛의 뜻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배출/배출구 2. 감정 표출 3. 회사 4. 전기 코드를 꽂을 콘센트 5. 직영점, 할인점, 복합상가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out, 밖으로 이런 뜻이 있습니다. 그리고 let은 사역 동사로 많이 알려져 있죠. ~ 하게 하다. 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Outlet, 밖으로 나가게 하다' 이런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5가지 의미가 모두 밖으로 나가게 하는 의미가 들어있죠. 아웃렛 공장은 193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공장 옆에 지어놓고, 유통 과정을 없애면서 저렴하게 팔고 고객에게 공장 체험도 시켜주는 등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20세기 후반 아웃렛을 모아놓은 쇼핑몰이 미국에서 급격하게 성장했고 지금의 아웃렛이 된 겁니다. 그래서 아웃렛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Outlets, 복수 명사로 써야 하는데 발음 편의상 아웃렛이라고만 하죠. 그런데 아웃렛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시면 인터넷 주소(URL)에 outlets 라고 s가 붙어 있는 걸 확인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한풀이영어 #영어문법 #영어공부 #영어 #문법 #공부 #문법공부 #단어 #영어단어